분류 전체보기

개요 라즈베리파이를 설치한 후 최초의 설정 작업이 완료되면 직접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하기보다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다른 장치에서 원격으로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도 있습니다. 라즈베리 파이를 원격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SSH(Secure SHell)를 통해 라즈베리파이의 명령줄(Command Line) 인터페이스에 접근하는 방법과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또는 RDP(Remote Desktop Protocol)를 사용하여 라즈베리파이의 데스크톱 환경에 접근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원격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전 준비 원격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라즈베리파이의 I..
개요 많은 사람들이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하는 방법 중 한 가지는 홈서버(NAS)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라즈베리파이를 외부 네트워크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접속은 기본적으로 IP 주소만 알면 됩니다. 우리는 지난 포스트에서 라즈베리파이의 IP 주소를 확인하였습니다. 이 IP주소를 사용해 내부 네트워크에서 SSH 또는 VNC를 통해 원격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IP 확인하기 라즈베리파이 원격 접속하기 하지만 우리가 확인한 IP 주소는 사설 IP주소라고 부르며 이것은 공유기 내부에 위치한 장치들 사이에서만 유효합니다. (공유기가 구성해준 네트워크에서 이 값은 고유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보충 설명을 해보면, 다음과 같..
개요 라즈비언은 라즈베리파이의 운영체제로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우리가 설치한 라즈비언 이미지에는 운영체제 외에도 각종 패키지가 함께 설치되어 있지만 그 외의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추가 설치해야 합니다. 라즈비언과 같은 리눅스에서 응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패키지 관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인터넷으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라즈베리파이를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해야 합니다. 유선이라면 모뎀, 스위치, 라우터(인터넷 공유기)와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해야 하며, 무선이라면 인터넷이 제공되는 와이파이에 올바른 아이디와 암호를 입력하여 접속해야 합니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연결은 사용자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여기서는 라즈베리파이를 네트워크에 연..
개요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라즈베리파이는 IP 주소를 부여받습니다. PC와 같은 다른 장치에서 SSH 등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거나, 공유폴더 기능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이 IP 주소 값을 알아야 합니다. 라즈베리파이에 모니터가 연결되어 있다면, IP 주소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리눅스 및 네트워크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경우 그 외의 방법을 살펴보지 말고 모니터와 키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직접 연결한 후 확인할 것을 강력히 추천합니다. 라즈베리파이에 모니터가 직접연결된 경우 라즈베리파이의 터미널을 사용하여 라즈베리파이의 IP주소를 알 수 있습니다. hostname -I 를 입력하면 IP 주소가 화면에 표시됩니다. (I는 대문자로 입력합니다.) $ hostname -I 192.168.0...
개요 에셋(Assets) 이란 이미지, 사운드 효과, 텍스트를 포함하여 게임상에 삽입되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Phaser는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애셋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로딩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작하는 게임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사용되는 애셋의 양이 늘게 되며, 로딩에 소요되는 시간이 점점 늘어나게 됩니다. 게이머는 모든 작업이 완료되기를 기다려야 하는데, 이때 기다리는 게이머를 위하여 화면에 대기해야 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어야 합니다. 이러한 화면을 로딩 화면이라고 하며, 이번 포스트에서는 Phaser를 이용하여 로딩 화면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전 준비 Phaser 를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해야 합니다. 자신의 PC에서 본 프로젝트를 수행한다면 Getting Start With..
개요 Stackblitz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클라우드 통합 개발 환경입니다. 저는 주로 Angular의 학습을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별도의 개발 환경 구축을 위한 노력 없이 무료로 학습한 내용을 즉시 코딩해 볼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다만, 아쉬운 것은 현재 정적 파일 호스팅을 지원하지 않아,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 외부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무료 정적파일 호스팅 서비스인 GitHub Pages 의 사용법을 알아보고, 호스팅 된 파일을 stackblitz에서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itHub Pages 생성 GitHub Pages 는 GitHub에서 제공하는 정적 사이트 호스팅 서비스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여기에 정적 사이트 생성기인 [Jekyll]과(..
개요 하드웨어 설계자들은 공간의 낭비를 최소화하고자 하드웨어의 제어와 상태 확인을 위한 레지스터에 비트단위로 기능을 할당합니다. 때문에 많은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은 C언어의 기본 자료형 크기보다 작은 단위로 데이터를 다루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C 언어에서는 비트단위 연산자(bitwise)와 비트 필드 자료구조를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C언어의 포인터와 비트단위 연산의 조합은 저수준(low level) 프로그램에서 유용합니다. 이를 이용하면 대부분의 어셈블리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비트단위 연산자(Bitwise Operator) C 에서 제공하는 비트 연산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 AND | : OR ^ : XOR ~ : NOT : RIGHT SHIF..
개요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로그인을 요구하는 것은, 사용자의 정보를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에서 맞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입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로그인 여부에 따라, 혹은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정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자 페이지에 대한 접근 제한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앞선 포스트에서 보았던 것처럼 사용자의 Login 상태에 따라 화면 및 링크를 숨겨 접근을 차단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을 모든 컴포넌트에 적용하게 되면 설정이 여기저기 산재되어 지속적인 유지 관리가 쉽지 않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Angular 에서 제공하는 Router 모듈을 이용하여 입력받은 URL 에 따라 표시할 수 있는 컴포..
쓴웃음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7 Page)